[출근길 인터뷰] 아시아 최대 미술장터, 프리즈·키아프 동시 개막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적인 아트페어인 '프리즈'와 '키아프'가 오늘 서울에서 동시 개막합니다.<br /><br /> 오늘은 한국화랑협회 안진욱 이사를 만나 최대 규모의 미술 잔치를 즐기는 법을 알아봅니다.<br />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뉴스캐스터 연결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이민재 캐스터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출근길 인터뷰입니다. 오늘은 안진욱 이사와 함께 이야기 나눠봅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안진욱 / 한국화랑협회 이사]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먼저 키아프와 프리즈의 공동 개최로 서울이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. 키아프와 프리즈 좀 어렵거든요.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.<br /><br />[안진욱 / 한국화랑협회 이사]<br /><br />키아프는 한국을 대표하는 국제적인 아트페어입니다. 이번에 21회를 맞이하는데요. 또한 새롭게 론칭한 것이 키아프 플러스라고 해서 세텍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프리즈 서울은 사실 프리즈는 세계 3대 아트페어 중에 하나입니다. 런던, 뉴욕, LA를 거쳐서 이번에는 처음으로 한국에서 아시아를 대표하는 서울에서 전시를 하게 됩니다. 이건 키아프랑 같이 공동 개최를 코엑스에서 하게 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피카소 등 미술사 거장뿐만 아니라 한국에서 보기 어려웠던 동시대 거장들의 작품들도 볼 수 있다고 하는데요. 특히 눈여겨볼 만한 작품이 있다면요.<br /><br />[안진욱 / 한국화랑협회 이사]<br /><br />한국에서 블루칩 작가죠. 김한기 작가의 작품을 볼 수 있고요.<br /><br />또한 벨기에 갤러리입니다. 거기에서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한국 작가 보따리 시리즈로 유명한 김수자 작가의 설치 미술을 볼 수 있고요.<br /><br />또한 이탈리아 갤러리에서는 아니스카프의 어떤 현대적인 미술도 같이 볼 수 있게 되는데요. 특히 프리즈 서울은 사실 박물관 수준의 작품들이 대거 들어옵니다. 피카소, 에곤실러, 호크니 또한 데미언 허스트의 작품을 우리가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5일간의 미술 주간을 축제로 만들기 위해서 심야 전시와 같은 다양한 행사를 마련했다고 하는데요. 이 아트페어를 최대한 즐길 수 있는 팁이 있다면요.<br /><br />[안진욱 / 한국화랑협회 이사]<br /><br />총체적으로 347개의 갤러리들이 참가하는 전시입니다. 그래서 아마 편안한 신발을 먼저 준비하셔야겠죠. 특히 이와 곁들여 다양한 행사가 이루어지는데요.<br /><br />삼청동 갤러리들의 나이트 전시 또한 한남동의 갤러리들이 함께하는 나이트 전시가 있고요. 강북에서는 강남구청과 함께하는 강남갤러리. 특히 청담동, 압구정동에 있는 갤러리들과 그다음에 미술관들이 다양한 행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미술계에서는 이번 행사를 계기로 한국 미술계가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기회임과 동시에 한국 미술 시장의 위축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[안진욱 / 한국화랑협회 이사]<br /><br />사실 왜 이번 아트페어에 이번 행사에 관심이 많으냐면 사실은 단순한 아트페어가 아닙니다. 그동안 아시아 아트마켓의 주도권이 홍콩에 있었습니다. 홍콩 시장이 무너지면서 세계의 어떤 관심이 한국에 쏠리는 이유는 첫째 세계 20%에 해당하는 아트마켓을 중국이 차지했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의 실질적인 창구인 홍콩이 무너지면서 서울에서 하게 됐는데요. 이 일을 통해서 싱가포르 아니면 도쿄를 앞서서 저희가 시작을 하게 된 것이 굉장히 중요한 초점입니다.<br /><br />지금 현재 세계 굴지의 미술관의 디렉터 그다음에 슈퍼 컬렉터들, 갤러리스트, 비평가들이 한국을 찾아오고 있습니다. 그분들을 통해서 실제로 우리 한국의 유망한 작가들이 세계무대에 설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봅니다.<br /><br />물론 빛이 강하면 그림자가 들이듯이 강자들과 저희는 경쟁해야 됩니다. 이를 통해서 저희가 얻게 되는 것은 바로 한국 미술의 시스템이 변화가 되고 또한 이를 통해서 저희가 개선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. 그래서 K아트도 우리 문화 강국에서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오늘 말씀 감사합니다.<br /><br />[안진욱 / 한국화랑협회 이사]<br /><br />감사합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#아트페어 #프리즈 #키아프 #피카소 #김한기 #한국화랑협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